교반 및 현장토 선별기 반입

교반/선별기 설치,

흙+벤토나이트(팽윤도24ml) 교반

혼합토 현장 반입/그레이더,백호등의 평탄작업/로라 다짐작업

평탄및 다짐 완료

혼합토 포설 후 두께측정 (T=30 ~ 50cm)

: 현장에 맞는 두께로 포설

연못 ,저류지(T=30cm 이상)

매립장 (T=50cm이상)

혼합토층 시료채취(투수계수 시험)=1.0*10-8 cm

매립장, 연못,저류지등에 적용하는 친환경 공법으로

차수를 목적으로 설치 합니다.

혼합토 일위대가

벤토나이트파우더 단가 (수량에 따른 가격변동 있습니다)

팽윤도
단가 (ton 당)
24ml/cm 이상
220,000원
16~18ml/cm
200,000원

연락처 : 010-8697-6920 이재훈 입니다!!!

 
 
반응형

1. 현장토(모토) 선별

2. 현장토(모토)+ 벤토나이트파우더

3. 벤토나이트파우더 교반(스테빌라이져)

4. 혼합토(현장토+벤토나이트파우더) 현장 반입

5. 적정두께 포설 및 다짐

6. 완료

연락처 : 010-8697-6920 이재훈 입니다!!!

반응형

연락처 : 010-8697-6920 이재훈

첨부파일
상세도(CIP합벽).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상세도(토류합벽).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시방서(정방수&CIP&토류합벽).hwp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제안서(건축부분)2022.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합벽방수(동양,발전소).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천연VS활성 벤토나이트비교.pdf
파일 다운로드
반응형

현장사진입니다.

간단히 추려봤어요!!

연락처 : 010-8697-6920 이재훈 입니다!!!

반응형

간단하고 빠른시공으로 완벽한 차수 :

벤토나이트방수 (벤토시트)

지하철 기초바닥 벤토시트 방수

지하철 기초바닥 벤토시트 방수

지하철현장 지하층 바닥방수 : 벤토시트

지하철 환기구 외벽

지하철 환기구 외벽 벤토시트방수 (천연소디움벤토나이트)

저류조

저류조 외벽방수 (천연소디움벤토나이트)

 이재훈 010-8697-6920

 
 
반응형

벤토나이트 방수

(자가치유식 멤브레인 쉬트방수 )

1. 일반사항 

 

1.1 적용 

1.1.1 이 시방서는 천연 소디움 벤토나이트를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시트 위에 압착 

성형하여, 가공한 벤토쉬트-S(BentoSheet-S)를 사용하는 건설공사에 적용한다. 

1.1.2 다른 시방서가 적용되는 관련 공종 

. 콘크리트공 : 박리제 사용 또는 콘크리트 양생에 관한 제한은 없다. 

. 조적공 : 조적 재료의 제한은 없다. 

. 되메우기: 입경 30mm 이하의 날카롭지 않은 되메움 재료를 이용하여 수정 프록터 

계수 75%이상으로 다짐을 한다. 

 

1.1.3 해수나 염분 등으로 오염된 지하수가 존재하는 곳에 사용하는 염수용 벤토쉬트는 

다른 시방을 적용한다. 

1.2 제출물 

1.2.1 시험성적서 

1.2.2 시공도면 

1.3 자재의 인도, 보관 및 취급 

1.3.1 벤토쉬트는 팔레트단위로 인도되는 것이 원칙이다. 지관에 말아 자외선 차단코팅 

플라스틱 필름으로 포장된 벤토쉬트는 운반중 쉬 움직이지 않도록 다발로 묶어 

팔레트에 고정되어 있다. 

1.3.2 포장의 표기는 상품명, 치수(두께, 길이, ), 제조 회사명, 주소 등을 포함한다. 

1.3.3 벤토쉬트는 포장 상태 대로 바로 세워서 지면에 닿지 않게 보관한다. 옥외보 

관의 경우, 방수천으로 씌워 보관하되 뉘어서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1.4 검수와 품질보증 

현장의 검수 담당자가 현장에 도착한 자재를 검수하여 아래와 같은 결함이 발견되 

는 것은 반품, 교환을 요구할 수 있다. 

 

1.4.1 찢어짐, 절단, 접힘, 주름 또는 구멍 

1.4.2 벤토나이트층과 HDPE층의 분리 

1.4.3 꺾어지거나 지나치게 구부러짐 

2. 자재 

2.1 제조업체 

한국파라마운트주식회사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69 7 909(여의도동. 충무빌딩) 

전화: (02) 784-8599 팩스: (02) 784-0287 

메일: sales@ecolomic.com 

2.2 벤토쉬트-S(BentoSheet-S) 

수화(水化 Hydration)시 영구적 차수기능을 지니게 되는 천연소디움 벤토나이트 LD16

을 인장파단, 전단, 충격 및 수압에 강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쉬트에 압착, 성형

한 이중막 구조의 방수재이다. 구체의 미세한 균열로 인한 누수위험 개소는 스스로 씰

링할 수 있는 자가치유 기능이 있다. 

 

2.2.1 규격 

. 두께 : 4.5mm ± 0.3mm ( 벤토나이트층: 4mm ± 0.3mm. HDPE : 0.5mm) 

. 길이 : 7.5m 

.  : 1.2m 

2.2.2 품질기준과 시험방법 

시험 항목
단 위
품질기준
시험방법
벤토나이트
원재료 팽윤지수
m/2g
24 이상
ASTM D 5890
부피 팽창율
%
650 이상
KS M 3736
액손실(Fluid Loss)
m
18 이하
ASTM D 5891
HDPE 시트
인장강도
kgf/cm2
250 이상
KS M 3736
인장신도
%
450 이상
인열강도
kgf/cm
40 이상
제 품
중 량
g/m2
4,800 이상
KS M 3736
낙구충격시험
-
외관판정
정수압 시험
-
50m 수두에서
누수가 없을 것

2.3 보호콘크리트 

2.4.1 슬럼프 15mm 정도의 보호몰탈 콘크리트이다. 

3. 시공 

3.1 현장점검 

3.1.1 작업에 적합한 날씨 : 벤토쉬트가 젖지 않도록 눈비가 없는 날을 택한다. 

3.1.2 물이 고여 있거나 흐르는 경우, 벤토쉬트가 젖지 않도록 반드시 미리 제거 

하거나 배수한다. 

3.2 작업준비 

3.2.1 현장의 작업 조건을 살피고 시작과 마감 등의 작업순서를 구상한다. 

3.2.2 벽체나 슬라브 바탕면이 평탄하고 시공에 장애가 되는 물체가 없는지 확인 

한다. 

3.2.3 돌출물, 폼타이(form tie) 등을 제거한다. 

3.2.4 구멍, 균열, 공극, 시공상 결함부분, 시공이음 부위 등은 벤토매스틱으로 메 

운다. 

3.2.5 배수관, 굴곡부위, 돌출부, 구체관통 부위 등의 형상을 점검한다. 

3.2.6 구조물 관통부 주위에는 벤토씰 , 매스틱 또는 벤토튜브를 이용하여 벤토쉬 

트와 구체 사이에 틈이 남지 않도록 보완한다. 

3.2.7  3mm 이상의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개소는 깊이 2cm 정도로 V 

한 후 벤토씰이나 벤토매스틱을 이용하여 충진한다. 

3.3 시공순서 

3.3.1 일반사항 

. 다른 공종작업과 연관되는 부분이 있으면 조정한다. 

. 도면 표시대로 벤토쉬트를 설치한다 . 구조물 타입에 따라 설치 요령이 다르 

므로 아래 구분 중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에 맞는 요령을 따른다. 

) 바닥슬라브 - 지하 바닥슬라브 하부 

 

) 벽체 -되메우기 하는 수직벽 (조적벽, 콘크리트타설벽) 

) 상부슬라브 -지중 슬라브지붕 (개착식 지하철 , 공동구, 지하주차장),  

생부(植生部 Planters) 바닥, 지중구조물 상부 프롬나드 (Promenade) . 

 

) 합벽 - 목재토류판+H, 쉬트파일, CIP, SCW 등의 토류벽 

 

) 위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 다른 타입의 구조물은 제조업체에 문의 

 

3.3.2 공통사항 

. 벤토쉬트의 방향 : 벤토나이트면이 방수할 구조물에 접하도록 한다 . , 

시공 면적이 매우 큰 바닥슬라브 하부에는 시공편의를 위하여 뒤집어 설치 할 수 

있다. 

 

. 벤토쉬트의 고정 : 못과 와셔로 구조물에 고정한다 . 망치작업이 어려운 고강도 크리트 구조물에는 타정총을 이용한다. 못 간격은 바닥 15cm,  30㎝를 기준으로 하되 벤토쉬트와 구조물의 밀착 상태에 따라 가감한다. 

 

. 벤토쉬트의 이음 : 최소한 아래와 같은 폭을 겹쳐 잇되, 시공면의 평활도나 조건

에 따라 겹침폭을 늘린다. 

 

) 바닥 : 7cm 이상 

 

) 벽면 : 10cm 이상 

 

) 상부슬라브의 모서리 : 15cm 이상 

 

. 파손부위의 수선 : 작업 중 방수층이 찢어지는 등 파손된 경우 , 벤토매스틱 

으로 보완한 후 벤토쉬트 조각을 파손부 가장자리부터 주위로 20㎝ 이상 

겹치도록 덧대고 벤토나이트 과립 또는 벤토매스틱으로 보완한다. 

 

. 조기수화의 예방 : 바탕면에 물기가 비칠 정도의 침입수가 있으면 설치에 앞 

 PE필름(두께 0.1mm) 을 벤토쉬트 폭과 길이보다 10㎝ 이상 크게 미리 

깔아 조기수화를 예방한다. 

 

. 방수층의 보호 : 설치가 완료된 부분에는 가능한대로 빨리 보호모르타르( 

 30mm 이상)를 타설하거나 되메우기를 하여 악천후 또는 다른 작업으로 

인한 방수층 손상이나 조기수화의 위험을 예방한다. 

 

. 분할 시공 : 벤토쉬트를 한 번에 설치하지 못하고 나누어서 할 경우 먼저 시 

공한 부분의 끝자락을 폭 25cm 이상 거푸집 너머로 남겨 다음 설치부분과 

겹쳐 이을 수 있게 한다. 남긴 자락은 상태에 따라 보완처리 한다. 

 

. 콘크리트 이어치기 : 시공 죠인트에는 벤토씰 (수팽창 지수재 )을 사용하여 이 

음부의 수밀성을 확보한다. 

 

3.3.3 바닥 슬라브 

. 보호콘크리트면 위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흙바닥이 잘 다져져 있는지 또 평탄

한지 확인한다. 바닥 토사층 재료는 현지토, 모래 또는 자갈 중 그 어느 것도 

무방하나 토립자 직경은 최대 20mm 를 넘지 않도록 하되 뾰족한 재료 때문에 

자재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 벤토나이트층이 하늘을, HDPE층이 땅을 보게 설치함으로써 벤토나이트층이 

상부에 타설될 구조물 밑면과 밀착하도록 한다. , 1회 시공면적이 매우 넓 

고 그 위로 공구견인, 소운반 등이 불가피하여 벤토나이트면 손상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다. 

. 슬라브 양단에는 폭 25cm 이상 벤토쉬트 자락을 남긴다. 자락은 PE필름이 

나 보호모르타르로 감싼 후 외벽면으로 이어 시공될 때까지 손상 또는 조 

기수화 되지 않도록 대비한다. 

. 현장 여건상 보호모르타르 타설이 불가능하면 눈비에 대비하여 PE필름으로 

보호한다. 

. .의 자락은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할 때 거푸집 내벽에 밀착하여 못과 와 

셔로 고정한다. 

3.3.4 벽체 

. 벽체 바탕면을 고른다. 

. 벤토나이트층이 벽면을, HDPE면이 바깥을 보게 설치한다. 현장여건 때문에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벽체 하단에서 

시작하여 상단에서 끝나도록 한다. 

. 바닥 슬라브와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벤토튜브나 벤토나이트 과립으로 

 5cm, 높이 3cm 정도 채워 방수층이 구조물에 밀착하도록 한다. 벤토쉬 

트 겹침 폭은 15cm 이상 확보한다. 

. 폼타이핀 자리는 벤토매스틱으로 미리 충진해 준다. 

. 벽면에 시공되는 벤토쉬트는 상단이 지반선 (GL) 아래에서 마감된다. 상단은 

알미늄 스트립을 댄 후 20cm 간격으로 못을 박아 고정한다 (스트립의 ㄱ부분이 

벤토쉬트 상단을 감싸도록 댄다). 

. 낙하높이가 큰 되메우기 작업은 방수층을 손상할 염려가 있으므로 슈터를 

사용하여 자유낙하 높이가 30cm를 넘기지 않도록 한다. 

3.3.5 상부슬라브 

. 슬라브와 외벽이 만나는 모서리는 미리 모따기가 되어 있어 되메우기 작업 

이 방수층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 슬라브와 외벽에 각기 시공된 벤토쉬트의 겹침폭은 최소 15cm 이상 확보하 

여 되메움 토사로 인한 인장에 대비한다. 

. 벤토쉬트 방수층이 수화하여 팽창할 때 위로 작용하는 압력(揚壓)에 대항하 

여 슬라브 상부의 토사층, 콘크리트상판, 보도블록, 포장 등의 중량은 

146kg/m2 이상을 유지한다. 

3.3.6 합벽 (역방수) 

. 토류벽면의 굴곡과 요철을 다듬어 가능한 한 평활하게 한다. 

. 평활하게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합판 (두께 1cm 이상)을 대고 시멘트 모르 

타르로 채워 공간을 없앤다. 

. 토류판 사이에 넓이 2cm 이상의 틈이 있으면 시멘트 모르타르로 메운다 . 

. 벽면이 젖어 있으면 PE필름(두께 0.1mm 이상)을 깔고 그 위에 벤토쉬트를 

설치한다. 벽면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경우 , 배수판을 먼저 깔아 그 위에 설 

치하고 배수된 물은 집수, 처리한다. 

. 가설벽의 폼타이핀이나 락볼트 돌출부는 벤토 매스틱으로 에워싼다. 

. HDPE면이 합벽 또는 토류벽면을 보게 설치한다. 현장여건 때문에 세로방향 

으로 설치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벽체 하단에서 시작하여

상단에서 끝나도록 한다. 

. 이음부는 벽체에 밀착, 마감하여 타설 콘크리트가 이음부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설치 후에는 PE필름으로 방수층을 덮어 보호하다가 콘크리트 타설 직전에 

제거한다. 

 

3.4 현장의 품질 관리 

3.4.1 시험 

. 2.2.2의 시험은 현장별로 1로트 5,000m2를 기준으로 로트당 1회 실시한다. 

. 시험은 공인기관에 의뢰하되 규정된 크기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실시한다. 

3.4.2 검사 

방수작업이 완료되면 감독원으로부터 다음 사항의 검사를 받아야 하며, 지적 

된 불량부분은 이 시방서에 맞추어 즉시 수정한다. 

. 벤토쉬트 겹침부위의 위치와 폭 

. 벤토쉬트의 고정상태와 손상여부 

. 마감부분 및 방수취약지점의 시공상태. 

 

첨부파일
11. 시방서_벤토쉬트S.hwp
파일 다운로드

연락처 : 010-8697-6920 이재훈 입니다!!!

반응형

https://blog.naver.com/abcde1432/222445825669

물을 흡수하면 원래 체적의 15~20배 늘어나는 천연 소디움 벤토나이트 과립을 지오텍스 타일(PP직포와 PP부직포) 사이에 균일한 두께로 깔고 니들펀칭으로 고정한 지씨엘(GCL:Geo-synthetic Clay Liner)로서 차수층 또는 방수층 구축에 사용한다.

벤토텍스는 두께 수 십 배에 달하는 점토다짐 층의 차수성능을 능가할 뿐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다. 경제적인 차수는 물론 매립용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지씨엘은 지반변형에 대응할 뿐 아니라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룬다.

특 징

직포와 부직포에 매입된 벤토나이트 방수/차수층은 수화 팽윤 시 4S * 효과를 발휘 이음은 단순한 겹침이므로 시공이 쉽고 경제적 S/B(Soil/Bentonite) 혼합토 공법에 비해 간단한 장비 동원, 비산 먼지 전무, 신속하고 경제적인 시공. 또한 내용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토공량 감소 시공하자 우려가 적어서 육안검사만으로 시공품질 보장

1. 영구적 성능

가혹한 건 습, 동결 융해 사이클이 반복 되어도 성능열화가 없고, 분해되지 않는 천연 무기물

2. 간편, 신속, 환경친화적 시공

이음은 열융착이나 접착제 없이 단순한 겹침이므로 시공하자나 인체 유해물질의 발생 위험 없음

3. 전천후 시공

젖은 표면이나 혹한을 가리지 않고 시공 가능

4. 간단한 시공품질 검사

육안 검사만으로 충분

5. 간단한 하자보수

벤토나이트 과립 충진, 복토로 간단하게 보수

* 4S: Self-Adhesive(구체에 스스로 점착), Self-Detailing(스스로 세부 마감), Self-Seaming(겹침이음부 스스로 밀봉), Self-Sealing(스스로 구체균열을 메움)

용 도

쓰레기매립장의 침출수에 의한 토양오염 방지 인공 수로, 연못, 골프장 폰드 등의 수위 유지를 위한 차수층 구축 건물 지하층, 터널, 지하주차장, 저수조 등의 지하구조물의 외벽방수와 구조물 보호

벤토텍스-S: 표준형. 쓰레기 매립장 토양오염방지 차수

벤토텍스-LS: 인공수로와 연못 등의 수위유지용 차수

벤토텍스-K ** : 일반 지하구조물 외벽방수. 합벽시공

벤토텍스-BE: 침출수 중 중금속성분 저감 성능이 추가된 차수

벤토텍스-SW: 염분/이 포함된 지하토양이나 지하수 환경의 매립장용

** 벤토텍스의 표준 규격은 폭 5.4m, 길이 40m이나, 구조물 방수용 K시리즈 는 폭 1.2m, 길이 5.4m임

 
 
반응형

https://blog.naver.com/abcde1432/222448492109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