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보호콘크리트
2.4.1 슬럼프 15mm 정도의 보호몰탈 콘크리트이다.
3. 시공
3.1 현장점검
3.1.1 작업에 적합한 날씨 : 벤토쉬트가 젖지 않도록 눈비가 없는 날을 택한다.
3.1.2 물이 고여 있거나 흐르는 경우, 벤토쉬트가 젖지 않도록 반드시 미리 제거
하거나 배수한다.
3.2 작업준비
3.2.1 현장의 작업 조건을 살피고 시작과 마감 등의 작업순서를 구상한다.
3.2.2 벽체나 슬라브 바탕면이 평탄하고 시공에 장애가 되는 물체가 없는지 확인
한다.
3.2.3 돌출물, 폼타이(form tie) 등을 제거한다.
3.2.4 구멍, 균열, 공극, 시공상 결함부분, 시공이음 부위 등은 벤토매스틱으로 메
운다.
3.2.5 배수관, 굴곡부위, 돌출부, 구체관통 부위 등의 형상을 점검한다.
3.2.6 구조물 관통부 주위에는 벤토씰 , 매스틱 또는 벤토튜브를 이용하여 벤토쉬
트와 구체 사이에 틈이 남지 않도록 보완한다.
3.2.7 폭 3mm 이상의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개소는 깊이 2cm 정도로 V컷
한 후 벤토씰이나 벤토매스틱을 이용하여 충진한다.
3.3 시공순서
3.3.1 일반사항
가. 다른 공종작업과 연관되는 부분이 있으면 조정한다.
나. 도면 표시대로 벤토쉬트를 설치한다 . 구조물 타입에 따라 설치 요령이 다르
므로 아래 구분 중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에 맞는 요령을 따른다.
1) 바닥슬라브 - 지하 바닥슬라브 하부
2) 벽체 -되메우기 하는 수직벽 (조적벽, 콘크리트타설벽)
3) 상부슬라브 -지중 슬라브지붕 (개착식 지하철 , 공동구, 지하주차장), 식
생부(植生部 Planters) 바닥, 지중구조물 상부 프롬나드 (Promenade) 등.
4) 합벽 - 목재토류판+H빔, 쉬트파일, CIP, SCW 등의 토류벽
5) 위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 다른 타입의 구조물은 제조업체에 문의
3.3.2 공통사항
가. 벤토쉬트의 방향 : 벤토나이트면이 방수할 구조물에 접하도록 한다 . 단,
시공 면적이 매우 큰 바닥슬라브 하부에는 시공편의를 위하여 뒤집어 설치 할 수
있다.
나. 벤토쉬트의 고정 : 못과 와셔로 구조물에 고정한다 . 망치작업이 어려운 고강도 크리트 구조물에는 타정총을 이용한다. 못 간격은 바닥 15cm, 벽 30㎝를 기준으로 하되 벤토쉬트와 구조물의 밀착 상태에 따라 가감한다.
다. 벤토쉬트의 이음 : 최소한 아래와 같은 폭을 겹쳐 잇되, 시공면의 평활도나 조건
에 따라 겹침폭을 늘린다.
1) 바닥 : 7cm 이상
2) 벽면 : 10cm 이상
3) 상부슬라브의 모서리 : 15cm 이상
라. 파손부위의 수선 : 작업 중 방수층이 찢어지는 등 파손된 경우 , 벤토매스틱
으로 보완한 후 벤토쉬트 조각을 파손부 가장자리부터 주위로 20㎝ 이상
겹치도록 덧대고 벤토나이트 과립 또는 벤토매스틱으로 보완한다.
마. 조기수화의 예방 : 바탕면에 물기가 비칠 정도의 침입수가 있으면 설치에 앞
서 PE필름(두께 0.1mm) 을 벤토쉬트 폭과 길이보다 10㎝ 이상 크게 미리
깔아 조기수화를 예방한다.
바. 방수층의 보호 : 설치가 완료된 부분에는 가능한대로 빨리 보호모르타르(두
께 30mm 이상)를 타설하거나 되메우기를 하여 악천후 또는 다른 작업으로
인한 방수층 손상이나 조기수화의 위험을 예방한다.
사. 분할 시공 : 벤토쉬트를 한 번에 설치하지 못하고 나누어서 할 경우 먼저 시
공한 부분의 끝자락을 폭 25cm 이상 거푸집 너머로 남겨 다음 설치부분과
겹쳐 이을 수 있게 한다. 남긴 자락은 상태에 따라 보완처리 한다.
아. 콘크리트 이어치기 : 시공 죠인트에는 벤토씰 (수팽창 지수재 )을 사용하여 이
음부의 수밀성을 확보한다.
3.3.3 바닥 슬라브
가. 보호콘크리트면 위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흙바닥이 잘 다져져 있는지 또 평탄
한지 확인한다. 바닥 토사층 재료는 현지토, 모래 또는 자갈 중 그 어느 것도
무방하나 토립자 직경은 최대 20mm 를 넘지 않도록 하되 뾰족한 재료 때문에
자재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나. 벤토나이트층이 하늘을, HDPE층이 땅을 보게 설치함으로써 벤토나이트층이
상부에 타설될 구조물 밑면과 밀착하도록 한다. 단, 1회 시공면적이 매우 넓
고 그 위로 공구견인, 소운반 등이 불가피하여 벤토나이트면 손상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뒤집어서 설치할 수 있다.
다. 슬라브 양단에는 폭 25cm 이상 벤토쉬트 자락을 남긴다. 자락은 PE필름이
나 보호모르타르로 감싼 후 외벽면으로 이어 시공될 때까지 손상 또는 조
기수화 되지 않도록 대비한다.
라. 현장 여건상 보호모르타르 타설이 불가능하면 눈비에 대비하여 PE필름으로
보호한다.
마. 다.의 자락은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할 때 거푸집 내벽에 밀착하여 못과 와
셔로 고정한다.
3.3.4 벽체
가. 벽체 바탕면을 고른다.
나. 벤토나이트층이 벽면을, HDPE면이 바깥을 보게 설치한다. 현장여건 때문에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벽체 하단에서
시작하여 상단에서 끝나도록 한다.
다. 바닥 슬라브와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벤토튜브나 벤토나이트 과립으로
폭 5cm, 높이 3cm 정도 채워 방수층이 구조물에 밀착하도록 한다. 벤토쉬
트 겹침 폭은 15cm 이상 확보한다.
라. 폼타이핀 자리는 벤토매스틱으로 미리 충진해 준다.
마. 벽면에 시공되는 벤토쉬트는 상단이 지반선 (GL) 아래에서 마감된다. 상단은
알미늄 스트립을 댄 후 20cm 간격으로 못을 박아 고정한다 (스트립의 ㄱ부분이
벤토쉬트 상단을 감싸도록 댄다).
바. 낙하높이가 큰 되메우기 작업은 방수층을 손상할 염려가 있으므로 슈터를
사용하여 자유낙하 높이가 30cm를 넘기지 않도록 한다.
3.3.5 상부슬라브
가. 슬라브와 외벽이 만나는 모서리는 미리 모따기가 되어 있어 되메우기 작업
이 방수층 손상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나. 슬라브와 외벽에 각기 시공된 벤토쉬트의 겹침폭은 최소 15cm 이상 확보하
여 되메움 토사로 인한 인장에 대비한다.
다. 벤토쉬트 방수층이 수화하여 팽창할 때 위로 작용하는 압력(揚壓)에 대항하
여 슬라브 상부의 토사층, 콘크리트상판, 보도블록, 포장 등의 중량은
146kg/m2 이상을 유지한다.
3.3.6 합벽 (역방수)
가. 토류벽면의 굴곡과 요철을 다듬어 가능한 한 평활하게 한다.
나. 평활하게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합판 (두께 1cm 이상)을 대고 시멘트 모르
타르로 채워 공간을 없앤다.
다. 토류판 사이에 넓이 2cm 이상의 틈이 있으면 시멘트 모르타르로 메운다 .
라. 벽면이 젖어 있으면 PE필름(두께 0.1mm 이상)을 깔고 그 위에 벤토쉬트를
설치한다. 벽면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경우 , 배수판을 먼저 깔아 그 위에 설
치하고 배수된 물은 집수, 처리한다.
마. 가설벽의 폼타이핀이나 락볼트 돌출부는 벤토 매스틱으로 에워싼다.
바. HDPE면이 합벽 또는 토류벽면을 보게 설치한다. 현장여건 때문에 세로방향
으로 설치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벽체 하단에서 시작하여
상단에서 끝나도록 한다.
사. 이음부는 벽체에 밀착, 마감하여 타설 콘크리트가 이음부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아. 설치 후에는 PE필름으로 방수층을 덮어 보호하다가 콘크리트 타설 직전에
제거한다.
3.4 현장의 품질 관리
3.4.1 시험
가. 2.2.2의 시험은 현장별로 1로트 5,000m2를 기준으로 로트당 1회 실시한다.
나. 시험은 공인기관에 의뢰하되 규정된 크기의 시험편을 채취하여 실시한다.
3.4.2 검사
방수작업이 완료되면 감독원으로부터 다음 사항의 검사를 받아야 하며, 지적
된 불량부분은 이 시방서에 맞추어 즉시 수정한다.
가. 벤토쉬트 겹침부위의 위치와 폭
나. 벤토쉬트의 고정상태와 손상여부
다. 마감부분 및 방수취약지점의 시공상태.